2006년에 SI회사에 있을때 썻던글을 수정없이 올렸습니다. 참고하세요.

 

세상이 참빨리도 변해간다고 하지만 IT산업은 광속으로 변해가고 있다. 불과 1년전 신기술이 쓸모없는 기술이 되고 글로벌 기업들 또는 공개소프트웨어 그룹에서 모듈화하여 공개해버린다. 이젠 과거처럼 알고리즘과 싸우고 모듈 개발에 힘쓰기 보다는 구글링을 통한 공개소스 찿기가 적절한 해법인 시대가 되었다.

 

그렇다면 개발자들의 실력은 평준화 되었을까? 그렇지 않다 과거 어렵고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기술들이 플랫폼을 바탕으로 더 복잡하고 세밀해졌기 때문에 좀더 광범위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개발자들은 도퇴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이의견에 반론을 제기하는 분들도 있겠다. 각종플랫폼과 프레임웍들이 나와서 과거보다 편한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다고 생각할수있겠다. 이분들에게 반문하겠다. 그래서 과거보다 코딩량이 줄었는가?(기능당이 아니라 개발자 업무 시간당) 모델링은 더복잡해지고 코딩 또한 방대해졌다. 쉽게 배우는 프래임웍들이 마구 쏟아져 들어오는 통에 정신을 차릴수없다

 

자 그럼 한국의 상황으로 돌아와보자. 대기업들도 이제는 고비용 개발자들을 감당하기 힘들어졌고 역시 고급개발자들 역시 그들끼리의 경쟁속에서 몸값을 낮추고 있다. 또한 수많은 공개소스들과 플랫폼들이 어려운 솔루션들을 감당하고 있기 때문에 점점 한국의 개발자들은 허드랫 잡일꾼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 독특하고 유니크한 솔루션을 개발했다 치더라도 대기업들의 가로채기와 수정요구에 걸레되지 않을 솔루션은 없다

 

지금의 수많은 기성 제품과 솔루션들을 보라. 네이버는 검색능보다는 광고에만 치중하고 있고 외국 솔루션 연구그룹에서 차용 또는 훔처온 기술들로 단타성 솔루션들을 쏟아 내고 있다.

 

한국에서는 아무리 독특하고 대중적인 기술을 만들어도 그것에대한 지적인 재산권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리스크와 비용을 들여 개발하는 비용 보다는 외국 솔루션들을 도용 차용하는것이 훨씬 이득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현재 벤처 정신은 없다. 다들 최대한 빨리 외국 기술을 가지고 와서 단타성으로 빨리 돈벌고 빠진다라는 패배주의가 만면하며 대기업에 기생하여 하루하루 먹고 사는데에만 급급하다.

'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say] 꼰대 개발자의 리더쉽  (0) 2024.10.25
Technical Leading  (0) 2023.03.23
Importance of frameworks  (0) 2023.03.23
한국의 IT현실(2006년 version)  (2) 2023.03.22
한국이 왜 IT강국이 되었을까?(2006년 version)  (0) 2023.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