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스타트업에 근무할때 였다. 그회사는 수많은 프로젝트를 진행중이었으며 모든 인프라는 AWS에 존재하였다. 

모든 인프라에 대한 구조, 위치 계정 정보는 관리 되지 않았고 인프라 삭제/생성도 모두 개인 역량에 집중하여 AWS Consol에서 작업중이었다, 물론 인프라 모니터링 조차도 존재하지 않았다.

 

나는 플랫폼을 개발하기위해 입사하였지만 ... 첫번째 목표는 인프라 관리 였다.

인프라 관리를 자동화하고 관리 이력을 남기며 모니터링 또한 가능해야했다.

 

그래서 시작된 brand-new XXX infra project

 

먼저 terraform을 통한 code base infra management를 구축하기위해

 

https://www.terraform.io/

 

Terraform by HashiCorp

Terraform is an open-source infrastructure as code software tool that enables you to safely and predictably create, change, and improve infrastructure.

www.terraform.io

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너무 멋지게도 AWS INFRA를 생성/삭제 해주었지만 multi-stack, multi-environment에 너무 많은 코드가 중복되었다.

하여 도입하되 된것이 

 

https://terraspace.cloud/

 

Terraspace | The Terraform Framework

We were very curious to learn about Terraspace, a Terraform Framework (yes yes, that’s a thing!) helping DevOps engineers to be more productive. You can use it for example to deploy multiple stacks at once in various cloud providers with just one command

terraspace.cloud

이다.

 

terraspace는 terraform을 돕는 framework으로써 stack / environment간의 코드 공통화를 지원하고 있었고 공통 인프라 생성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서해대교 계측관제 (Visual C++, Direct3D)

 

3D로 관련 건축물을 모델링하고 각 부분에 설치된 관측 장비로 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통합 표시하고 다리의 뒤틀림과 움직임을 보여준다.

 

서해대교의 전체를 모델링하고 형상관리, 각각의 센서의 위치와 각 데이타를 표시, 화면 확대/이동/회전을 통하여 자세한 형상관리가 가능

 

 

센서의 데이타값을 기반으로 형상의 뒤틀림등을 시각적으로 볼수 있다.

 

 

각각의 센서는 필요시 디테일한 내역을 볼수 있다.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raform & Terraspace  (0) 2023.03.22
GPS가 수신되지 않는 실내의 위치와 이동경로 실측  (0) 2023.03.22
문서(페이퍼) 자동 DB화  (0) 2023.03.22
업무용 메신저  (0) 2023.03.22

2개의 바퀴가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방향과 속도를 파악하여 실내맵에서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하기 프로젝트에서는 WIFI 정보를 자동수집하였다.

 

개발환경 : Visual C++

 

정보 수집장치를 밀고 실내를 돌아다니면 실내맵에 현재 지점(방향, 속도) 표시및 각 지점별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타를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데이타를 즉석에서 분석한다.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raform & Terraspace  (0) 2023.03.22
Direct 3D을 이용한 실시간 건축물 관제  (0) 2023.03.22
문서(페이퍼) 자동 DB화  (0) 2023.03.22
업무용 메신저  (0) 2023.03.22

페이퍼 (문서)를 문자인식하고 자동으로 파싱하여 DB 스키마에 맞는 데이타들을 추출하고 저장하는 프로젝트, MS-WORD로 인식후 MS-WORD에서 교정 작업, 칸칸히 입력하는 작업이 필요없음, 이때는 사전들을 전자사전으로 만들기위해 전산화하는 작업에 사용되었음( DB화 되어 있는 데이타를 WORD편집하듯이 편집하면 기존의 DB데이터 상호 자동변동)

 

개발환경 : Visual C++

 

 

업무용 메신저 ( Visual C++ )

 

1. 부서별 하이라키 지원

2. 사용자별 실시간 상태지원

3. 다국어 지원 ( 글그벌 기업에 적합, DB SETTING만으로 해당 언어 등록가능 - 프로그램 수정없음 )

4. 다자간 채팅지원

5. 그룹웨어등의 웹페이지와 연동 ( 메일, 결재, 조직도 등등 )

6. URL 자동인식 기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