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ay

[Essay] 꼰대 개발자의 리더쉽

Jack4u 2024. 10. 25. 18:14

요즘 꼰대 개발자들은 "하라는데로 해"와 "나만이 할 수 있어", "니가 하는것 보다는 내가 빨라", "내가 하는것이 낮지", "주니어들은 쓸데가 없어", "요즘 쓸만한 개발자들이 없어"라는 말속에서 팀원들의 역량 향상을 통한 팀의 역량 향상 나아가 회사의 팀의 역량 강화로인한 비즈니스의 성공에는 관심이 없는듯하다.

 

컨텍스트 공유와 기술적 업무지시 보다는 "내가 하고 말지"라는 자세가 많아지는듯하다. 사실상 요즘은 업무지시나 업무지시 불이행에 대한 쪼족한 방법도 없는것도 사실이긴 하다. 꼰대 개발자 입장에서는 컨텍스트 독점을 통한 생명력 확장은 짧게 나마 업계에서 살아남는 하나의 전략인것 같기도 하다.

 

과거에는 경력과 리더쉽은 비례하던 시기가 있었다. 상명하복의 문화와 단정된 공유속에서 경험은 무엇보다도 우선시 되었으며 컨텍스트 독점은 긴 호봉상승과 경제적 안정감을 주던 시기가 있었다. 문제는 아직도 이 꼰대 문화와 관습에서 벗어나지 못한 꼰대들이 많이 있다는것이 문제다.

 

요즘은 상명하복의 시대도 아니며 수 많은 오픈소스들과 블로그들은 오히려 꼰대들보다 더 많은 정보와 지식을 공유해주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는 시시각각 변하고 순식간에 흥망성쇠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컨텍스트 독점 또한 직장내 안정감을 줄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또한 요즘은 정확히 "중간"지점의 "업무지시", "코칭", "업무평가"등이 아니면 생계를 위협 할 만큼 큰 문제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현재의 "리더쉽 부족"의 문제를 야기시켰고 "꼰대 개발자"들을 찾는 계기가 되었지만 "꼰대 개발자"들은 현대의 리더쉽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그나마 살아남는 꼰대들은 팀원들에게는 허드렛일 시키고 자기가 밤을세워서 혼자 다 처리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때문에 작금의 스타트업들은 시니어 보충에도 불구하고 캐파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우리 꼰대 개발자들이 살아 남는 방법은 "부족한 리더쉽"에 도전하는길 뿐이다.

이를 위해 아래의 행동지침에 대해 제안해 볼까한다.

 

  • 모든 문제의 해결책은 시니어인 내가 중심이 되어야한다는 생각을 버려라
    • 위에도 얘기 했지만 요즘은 인터넷과 유튜브, 인강등을 통한 충분한 공유가 이루워 지고 있다. 나 한사람의 검색보다는 팀원 전체의 지식 검색이 더 효육적이며 아직은 고정되지 않는 주니어 / 중니어들의 아이디어가 빛날때가 더 많다는것을 인정해라
    • 끝까지 문제 해결에 대해 독려하고 지지해라. 업무와 기술에 대해 이해시키려는 노력은 부족해서는 안된다.
    • 문제에 대해 경험을 공유하고 방향성을 스스로 찾도록 해라. 그들이 부족한것은 경험뿐이다. 부족한것을 채워주는것이 리더의 역할이다.
    • 자신이 틀린것을 부끄러워하지 마라 - 자신이 틀린것을 리더쉽이 도전받는다고 생각하는 꼰대들이 많은듯하다. 다시한번 얘기하지만 지금은 MZ들이 검색과 지식 수용이 당신들 보다 100배는 빠르다. 
  • 컨텍스트를 수시로 공유하고 코칭해라
    • 팀내 일어나고 있는 모든것들은 팀원들과 공유하는것을 게을리 하지 마라 - 팀웍의 최대 걸림돌인 컨텍스트 독점의 문제를 막을 수있다.
    • 각 팀원들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철저히 공유받고 파악하는 일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 매일매일 대화를 해도 서로의 생각은 계속해서 달라지고 얼라인이 틀어지게 된다. 얼라인을 계속해서 맞추고 방향성을 잡아나가는것이 리더쉽의 기초다.
    • 팀원들의 컨텍스트 파악은 그들의 경험부족을 매꿔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일주일 단위의 스프린트회의로는 부족하다 매일 매일해라.
    • 주기적으로 1:1 대화를 해라. 
  • 가지고 있는 모든것을 전수해라
    • "이건 나만이 가진 기술인데"라는 생각이 당신을 꼰대로 만드는 지름길이다.
    • 비워야 새로운것을 배울 수 있다. 새로운것을 배우고 새로운 트렌트를 따라잡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마라.
    • 나만의 기술이라도 나누면 더욱 발전한다. 나누고 공유하고 토론해라.
  • 마음을 나누는것은 가족과 친구와 해라
    • 리더쉽은 "공감" 보다는 "일관성"에서 나온다.
    • 편애는 팀웍에 심각한 상처를 입힌다.
    • 마음을 나누더라도 업무에 있어서 "일관성"은 어떻게든 지켜라 - 그래서 친해지만 일관성을 잃을 수 있다. 

 

다음시간에는 "팔로워쉽"에 대해 얘기해 볼까한다.